요즘 야구 보다가 해설위원들이 자주 하는 말,
“저건 슬라이더가 아니라 스위퍼입니다.”
❓ 스위퍼? 대체 무슨 공이길래 그렇게 난리인 걸까?
2023 WBC 이후로 본격적으로 대중들에게 알려진 스위퍼는 이제 KBO, MLB 모두에서 필수 변화구로 자리잡았어요. 슬라이더랑 비슷해 보이지만, 사실 전혀 다릅니다.
⚾ 스위퍼는 어떤 공인가요?
- ✔️ 수평 무브먼트가 극대화된 슬라이더 계열 변화구
- ✔️ 직구처럼 쭉 오다가 양옆으로 크게 휘는 공
- ✔️ 속도는 슬라이더보다 살짝 느리고, 커브보다 빠릅니다.
- ✔️ 회전은 옆회전(horizontal spin)이 강해 타자 기준으로 옆으로 쭉 빠집니다.
🎯 쉽게 말해:
슬라이더가 짧고 예리하게 꺾인다면,
스위퍼는 넓게 쓸어가듯 옆으로 크게 휘어요!
🛠️ 스위퍼 그립과 던지는 법은?

- 🔸 그립: 슬라이더와 유사하지만 손가락을 더 벌려서 잡습니다.
- 🔸 손 모양: 손목 스냅보다는 손가락으로 사이드 회전을 줍니다.
- 🔸 팔 각도: 3/4 또는 사이드암일수록 무브먼트가 커집니다.
- 🔸 릴리스: 손목을 누르지 않고 자연스럽게 손가락으로 회전력을 전달합니다.
🔥 스위퍼와 슬라이더는 뭐가 다를까?
● 스위퍼 (넓은 횡방향 변화)
투구 궤적이 반복됩니다
구종 | 속도 | 무브먼트 | 회전 |
---|---|---|---|
슬라이더 | 135~145km/h | 짧고 예리하게 꺾임 | 기울어진 자이로 회전 |
스위퍼 | 130~140km/h | 넓고 길게 수평으로 휘어짐 | 순수 가로 회전 |
📌 핵심 차이
- 슬라이더 → 스트라이크 존 앞에서 짧게 꺾임
- 스위퍼 → 포수 미트까지 길게 퍼지듯 휘어짐
⏳ 스위퍼는 언제부터 나왔을까?
- 사실 스위퍼 자체는 완전히 새로운 공은 아닙니다.
- 일본 프로야구에서는 오래전부터 ‘빅 슬라이더’, **’플랫 슬라이더’**라는 이름으로 존재했습니다.
- 메이저리그에서는 2021~2022년부터 본격적으로 ‘스위퍼(Sweeper)’라는 명칭이 등장했습니다.
- 데이터 분석을 통해 슬라이더보다 헛스윙 유도율이 높은 횡무브먼트 중심 변화구가 효과적임이 증명됐죠.
🎯 그래서 2023년 WBC 이후 전 세계 야구계가 스위퍼 열풍!
🏆 2025 KBO 스위퍼 마스터는?
선수 | 소속 | 특징 |
---|---|---|
에릭 페디 | 전 NC 다이노스 | 헛스윙 유도율 29.3%, KBO MVP 출신. 완벽한 스위퍼 구사 |
송명기 | NC 다이노스 | 슬라이더처럼 보이지만 실제로는 스위퍼 계열. 우타자 바깥쪽으로 휘는 강력한 무브먼트 |
제임스 네일 | KIA 타이거즈 | UFO처럼 휘는 스위퍼. 좌우타자 가리지 않고 헛스윙 유도 |
🚀 왜 스위퍼가 뜨거울까?
- 타자들의 배트 스피드 증가, 발달한 타격 메커니즘 덕분에 직구-슬라이더 콤보만으로는 한계.
- 스위퍼는 타자의 배트 궤적에서 벗어나는 수평 무브먼트로 헛스윙 유도력이 뛰어남.
- 변화구임에도 불구하고 강한 회전과 속도 유지 덕분에 직구와 구분이 어려움.
🚨 스위퍼 단점은?
- ✅ 스트라이크 존에 넣기 어려움
- ✅ 횡무브가 너무 크면 좌타자 상대로는 바깥으로 쉽게 빠질 수 있음
- ✅ 회전과 릴리스 타이밍이 어려워 연습량 필요
✍️ 결론
이제 야구장에서 누가 “저건 스위퍼다”라고 말하면, 아는 척 제대로 할 수 있겠죠? 😎
👉 팁탭톡의 한줄평:
“스위퍼는 야구가 진화한 증거! 더 이상 슬라이더만으로는 부족하다. 스위퍼는 야구계의 새로운 공식이다.⚾🔥”